영화 리뷰

영화 하울의 움직이는 성, 정보 줄거리 후기

ENTJ world 2022. 10. 6. 10:18
반응형

하울의 움직이는 성

 

-영화 정보

이번 영화는 19세기 말의 유럽을 배경으로 시작하였습니다. 이 시대에는 마법과 기계들이 매우 많이 발달한 배경입니다. 어느 날, 소녀가 한 마녀를 만나게 되는데, 영문도 모른 채 갑작스럽게 마법에 걸려 할머니가 되었습니다. 절망속에 길을 걷던 와중에 매우 큰 마법의 성에 들어가게 됩니다. 거기에서는 캘시퍼와 마법사 하울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머무르게 되면서 '움직이는 성'에서 가정부 일을 하게됩니다. 영화 제작은 일본의 미야자키 하야오가 감독을 맡았으며, 소피의 목소리는 바이쇼 치에코가 담당. 하울의 목소리는 기무라 타쿠야가 연기하였습니다. 2004년 및 2006년에 3가지를 수상하였습니다. 한국의 관람객들에게는 매우 호평을 받았으며, 몇번을 보더라도 지루하지 않은 감동을 받는 작품이라고 하였습니다. 대부분의 관람객이 다시 재 시청하고 싶어하였습니다. 장르는 애니메이션과 판타지. 그리고 로맨드 멜로를 겸하였습니다. 

 

-영화 줄거리

18살의 소피는 작은 모자가게에서 일하는 소녀였습니다. 어느 날 그녀는 골목길을 지나가던 길에 군인들을 마주하게 됩니다. 그런 군인들이 그녀에게 짓궂게 행동을 하려고 하던 중 잘생긴 남자가 그녀를 도와주게됩니다. 그는 바로 하울이었습니다. 그렇게 마법같은 만남을 한 뒤 그녀는 모자가게로 돌아왔습니다. 그때, 갑자기 황야의 마녀가 그녀의 가게에 방문하였습니다. 그녀에게 하울에 대해서 물어보다가 화가 나버려서 소피를 그만 90세의 노인으로 만들어버립니다. 하루만에 그렇게 18살의 꽃다운 소녀는 노인이 되었습니다. 그렇게 자신을 잃어버린 소피는 주변 사람들 조차 자신을 믿지않았고 길을 걷던 와중에 한 허수아비 카브를 구해주게 됩니다. 그녀에게 고맙다는 듯 자신을 따라오라고 길을 인도합니다. 괴상하게 생긴 성으로 도착하였는데, 그 성의 이름은 '움직이는 성'이었습니다. 그렇게 들어간 하울의 성에서 마르클과 캘시퍼, 그리고 소피는 같이 생활을 시작하게됩니다. 문득 하울이 집에 오게되었고, 자신을 신경도 쓰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하울은 샤워를 하러갔는데 자신이 정리해둔 마법진이 변경이 되어서 그만 하울의 머리가 다르게 염색됩니다. 그런 하울과 착하디 착한 소피가 같이 생활하기 시작합니다. 과연 이들은 좋은 관계로 잘 지낼수 있을까요? 그리고 소피는 다시 어렸던 자기의 모습으로 돌아갈수 있을까요?

 

-영화 후기

이번 영화에서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나오는 하울은 보기만해도 감탄사가 나왔습니다. 단지 애니메이션이지만 그래도 꽃미남의 캐릭터를 만들어서 사람들의 집중을 한번에 받았습니다. 여기서 가장 명장면은 당연하게도 어린 하울에게 꼭 기다려라는 말을 남기던 소피입니다. 어린 하울은 캘시퍼와 계약을 하게됩니다. 갤시퍼가 불이 꺼져서 죽게된다면 하울도 같이 죽게됩니다. 마치  시간여행처럼 어린 하울을 보게 된 소피는 하울이 이 계약에 대해서 후회하는걸 알고있기 때문에 꼭 돌아올거라고 말합니다. 그 장면 후 영화의 첫 장면과 이어지게됩니다. 하울이 소피를 보고 계속 찾았다면서 소피를 구해주는 장면이 나오게됩니다. 여기서 사실 처음에 하울이 했던말에 대해서 크게 생각을 못하던 사람이 대부분입니다. 그러나, 사실 그냥 흘러가는 장면이 아니라 하울이 이미 알고있던 소피였다는 걸 보는 순간 모든 퍼즐이 맞춰지는 기분이었습니다. 이 영화를 보면서 인생은 정말 돌고도 돌아간다고 합니다. 결국 인생은 돌고 돌다가 같은 위치에 돌아오게됩니다. 마치 멀어지는 것 처럼 보이더라도 다시 돌아오게 되는겁니다. 모든 사람들의 인생은 하나의 회전목마처럼 회전하지만 위 아래로 움직이는 말처럼 인생의 굴곡은 있기마련입니다. 자신의 인생이 힘들거나 기쁠 때, 내가 어디론가 떠나서 잘못 되는건 아닌지 걱정보다는 즐기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가 만약에 '하울'이 된다면 소피를 평생 기억하는게 가능하지 모르겠습니다. 잠깐의 기억으로 꿈이라고 생각할수도 있으면서 시간이 오래 지날수록 까먹기 때문에 기억하기 힘들었을 것 같습니다.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세요?

반응형